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단답 기출문제 #5

by 오궁2 2023. 8. 30.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문제 시리즈 입니다. 

안전관리자 필수 자격증 산업안전기사 실기 2008년부터 2022년까지 기출문제입니다. 

 

유튜브 오디오북도 업데이트 되었으니 들으면서 공부하세요

산업안전기사 실기 암기정복 오디오북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문제 #5

 

76. 안전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교체·임명할 수 있는 사유 3가지

. 해당 사업장의 연간 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의 2배 이상인 경우

. 중대재해가 연간 2건이상 발생한 경우

. 관리자가 질병이나 그 밖의 사유로 3개월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77. 광전자식 방호장치 프레스에 관한 설명 중 빈칸을 채우시오.

- 프레스 또는 전단기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형태로서 투광부, 수광부, 컨트롤 부분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신체의 일부가 광선을 차단하면 기계를 급정지시키는 방호장치로 (A-1) 분류에 해당한다.” (작업형 정의 작성)

- 정상동작표시램프는 (녹색), 위험표시램프는 (적색)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 방호장치는 릴레이, 리미트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의 고장, 전원전압의 변동 및 정전에 의해 슬라이드가 불시에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 사용전원전압의 ±(20%)의 변동에 대하여 정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참고

방호장치 분류
광전자식 A-1, A-2
양수조작식 B-1, B-2
가드식 C
손쳐내기식 D
수인식 E

 

78.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작업시작 전 작업자가 점검해야할 점검사항 2가지

(프랑스가 방전되어 크리스마스)

.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 방호장치의 기능

.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 상태

. 클러치 및 브레이크 기능

 

79. 프레스 및 전단기의 방호장치를 각각 쓰시오.

-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 정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광전자식(감응식) 방호장치

- 슬라이드 하강 중 정전 또는 방호장치의 이상 시 정지하고, 1행정.1정지 기구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4 위치에서 손을 완전히 밀어 내어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

- 손목밴드는 착용감이 좋으며 쉽게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고, 수인끈은 작업자와 작업공정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수인식 방호장치

 

80. 인간-기계 통제 제어의 정도의 분류를 3가지 쓰시오.

- 수동시스템 (다양성(융통성)이 우수하며, 수공구나 기타 보조물을 사용하고

동력원은 인간 자신에 신체적인 힘이다.)

- 기계시스템 (동력원은 기계, 인간의 역할은 통제이다.)

- 자동시스템 (인간의 역학은 설계, 설치, 감시, 프로그램, 보전한다.)

 

81. 방호장치 프레스에 관한 설명 중 빈칸을 채우시오.

[보기]

- 광전자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정상동작표시램프는 (녹색),

위험표시램프는 (적색) 으로 하며, 쉽게 근로자가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 양수조작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누름버튼의 상호간 내측거리는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 손쳐내기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슬라이드 하행정거리의 (3/4) 위치

내에 손을 완전히 밀어내야 한다.

- 수인식 방호장치의 일반구조에 있어 수인끈의 재료는 합성섬유류로 직경이 (4mm) 이상이어야 한다.

 

82. 양수조작식 방호장치를 사용하는 프레스의 양단에 있는 동작용 누름버튼 스위치의

최소간격[mm]을 쓰시오.

- 300mm 이상

 

83.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사업의 종류 3가지

(, 전기 계약용량이 300kV 이상인 경우에 한한다.)

. 1차 금속업

. 가구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반도체제조업

. 전자부품제조업

 

84. 방호장치안전인증고시에 따른 전기기기 또는 방폭부품에 최소 표시사항 4가지

. 제조자의 이름 또는 등록상표

. 형식

. 기호 Ex 및 방폭구조의 기호

. X 또는 Y기호 (, 기호XY를 함께 사용하지 않음)

 

85. 전기 기계·기구를 설치할 때 주의사항 3가지 (전습전)

. 전기·기계기구의 충분한 전기적용량 및 기계적 강도

. 습기·분진 등 사용장소의 주위환경

. 전기적·기계적 방호수단의 적정성

 

86.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설비 중 접지를 해야하는 금속체 부분 3가지

. 전동식양중기의 프레임과 궤도

. 전선이 붙어있는 비전동식양중기의 프레임

. 고압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주변의 금속제 칸막이·망 및 이와 유사한 장치

 

87. 인체 계측자료의 응용원칙 3가지

. 조절식 설계

. 평균치 설계

. 극단치 설계

 

88. 정전기 재해의 방지대책 3가지

. 가습

. 도전성 재료 사용

. 대전방지제 사용

. 제전기 사용

. 접지

 

89. 정전작업 전 조치사항 4가지 (단검전전)

. 단락접지기구로 단락접지

. 검전기로 개로된 전로의 충전여부 확인

. 전로의 개로개폐기에 시건장치 및 통전금지 표지판 설치

. 전력 케이블·전력콘덴서 등의 잔류전하 방전

 

90. 정전기 대전의 종류 4가지 (마빡분유파충)

마찰대전, 박리대전, 분출대전, 유동대전, 파괴대전, 충돌대전

 

*대전의 종류 (작업형)

종류 설명
마찰대전 종이필름 등이 금속롤러와 마찰을 일으킬 때 마찰에
의하여 접촉의 위치가 이동하고 전하분리가 일어나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
박리대전 서로 밀착해 있는 물체가 분리될 때 전하분리가 일어나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
유동대전 파이프 속에 저항이 높은 액체가 흐를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액체의 흐름이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준다.
분출대전 분체액체기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노즐 등 개구부에서
분출할 때 마찰이 일어나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가스가 분진무상입자로 분출할 때 대전이 잘 일어난다.
충돌대전 분체류의 입자끼리 또는 입자와 고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접촉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
파괴대전 몸체의 파괴로 정부 전화의 균형 상태에서 불균형 상태로
전환될 때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

91. 부품배치의 4원칙 (중사기사)

. 중요성의 원칙

. 사용빈도의 원칙

. 기능별 배치의 원칙

. 사용순서의 원칙

 

92. 누전에 의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를 실시하는 코드와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5가지

. 휴대용 손전등

.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V를 넘는 것

. 고정형,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계·기구

. 물 또는 도전성이 높은 곳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 비접지형 콘센트

.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과 같은 고정형 전기기계·기구

 

93.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조건 3가지 (물대임)

.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가 있는 습윤장소에 사용하는 저압용 전기기계·기구

.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94. 근로자가 작업이나 통행 등으로 인하여 전기기계·기구 등 또는 전류 등의 충전부분에 접촉하거나 접근함으로써 감전위험이 있는 충전부분에 대하여 감전 방지방법 5가지 (충충충전발)

.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이 있는 구조로 할 것

.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이나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 전주 위 철탑 위 등 격리되어 있는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접근 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충전부를 설치할 것

. 발전소·변전소 및 개폐소 등 구획되어 있는 장소로서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하고, 위험표시 등의 방법으로 방호를 강화할 것

 

95. 누전차단기에 관한 내용일 때 빈칸을 채우시오.

[보기]

- 누전차단기는 지락검출장치, (트립장치), 개폐기구 등으로 구성되었다.

- 중감도형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50mA)~1000mA 이하이다.

- 시연형 누전차단기는 동작시간이 0.1초 초과 (2) 이내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