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모저모/자격증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단답 기출문제 #7

by 오궁2 2023. 8. 30.

글의 순서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문제 시리즈 입니다. 

    안전관리자 필수 자격증 산업안전기사 실기 2008년부터 2022년까지 기출문제입니다. 

     

    유튜브 오디오북도 업데이트 되었으니 들으면서 공부하세요

    산업안전기사 실기 암기정복 오디오북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문제 #7

     

    119. 휴먼에러에서 다음을 각각 2가지씩 분류하시오.

     

    (1) 독립행동에 관한 분류(심리적 분류)

    생략에러(Omission error)

    수행에러(Commission error)

    시간에러(Time error)

    순서에러(Sequential error)

    불필요한에러(Extraneous error)

     

    (2) 원인에 의한 분류

    1차에러(Primary error)

    2차에러(Secondary error)

    지시에러(Command error)

     

    120. Swain은 인간의 오류를 크게 작위적 오류(Commision Error)와 부작위적 오류(Omission Error)로 구분할 때 2개의 오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작위적 오류(수행 에러)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의 불확실한 수행

    (2) 부작위적 오류(생략 에러) - 필요한 직무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음

     

    121. Omission error(생략 에러)Commission error(수행 에러)로 분류하시오

    납 접합을 빠뜨렸다. Omission error
    전선의 연결이 바뀌었다. Commission error
    부품을 빠뜨렸다. Omission error
    부품이 거꾸로 배열되었다. Commission error
    알맞지 않은 부품을 사용하였다. Commission error

     

    122. 보기의 방독마스크에 관한 용어의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를 각각 쓰시오.

    [보기]

    - 대응하는 가스에 대하여 정화통 내부의 흡착제가 포화상태가 되어 흡착력을 상실한 상태 : 파과

    - 방독마스크(복합형 포함)의 성능에 방진마스크의 성능이 포함된 방독마스크

    : 겸용 방독마스크

    용어 설명
    파과 대응하는 가스에 대하여 정화통 내부의 흡착제가
    포화상태가 되어 흡착능력을 상실한 상태
    파과시간 어느 일정온도의 유해물질 등을 포함한 공기를
    일정 유량으로 정화통에 통과하기 시작부터 파
    과가 보일 때 까지의 시간
    파과곡선 파과시간과 유해물질 등에 대한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
    전면형 방독마스크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안면부 전체(눈코입)
    덮을 수 있는 구조의 방독마스크
    반면형 방독마스크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안면부의 입과 코를
    덮을 수 있는 구조의 방독마스크
    복합형 방독마스크 두 종류 이상의 유해물질 등에 대한 제독능력이
    있는 방독마스크
    겸용 방독마스크 방독마스크(복합용 포함)의 성능에 방진마스크의
    성능이 포함된 방독마스크

     

    123. 방독마스크 안전인증표시 외 추가 표시사항 4가지

    . 파라곡선도

    . 정화통의 외부 측면의 표시색

    . 사용시간 기록카드

    . 사용상의 주의사항

     

    124. 사용장소에 따른 방독마스크의 송급기준 중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보기]

    - 고농도 :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2) ( 암모니아에 있어서는 100분의 (3) ) 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

    - 중농도 :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1) ( 암모니아에 있어서는 100분의 (1.5) ) 이하의 대기 중에서 사용하는 것

    - 저농도 : 가스 또는 증기의 농도가 100분의 (0.1) 이하의 대기중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긴급용이 아닌 것

    - 비고 : 방독마스크는 산소의 농도가 (18%) 이상인 장소에서 사용할 것, 고농도와 중농도에서 사용하는 방독마스크는 (전면형) (격리식, 직결식)을 사용해야 한다.

     

    125.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시행해야 하는 안전보건교육의 종류 4가지

    - 정기교육, 특별교육, 채용시의 교육, 작업내용변경시의 교육

     

    126.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준수사항 3가지

    .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할 것

    .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거푸집 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

    . 설계도서상이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동바리를 해체할 것

    . 당일 작업을 시작하기전에 해당작업에 관한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

     

    127. 부두·안벽 등 하역작업을 하는 장소에서의 조치사항 3가지

    . 작업장 및 통로의 위험한 부분에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조명을 설치할 것

    .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을 90cm이상으로 할 것

    . 육상에서의 통로 및 작업장소로서의 다리 또는 선거갑문을 넘는 보도 등의

    위험한 부분에는 안전난간 또는 울타리를 설치할 것

     

    12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내용일 때 빈칸을 채우시오.

    [보기]

    - 화물을 취급하는 작업 등에 사업주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2m 이상 되는 하적단과 인접 하적단 사이의 간격을 하적단의 밑부분을 기준하여 (10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부두 또는 안벽의 선을 따라 통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을 (90cm) 이상으로 할 것

    -육상에서의 통로 및 작업장소로서 다리 또는 선거 갑문을 넘는 보도 등의 위험한 부분에는 (안전난간) 또는 울타리 등을 설치할 것

     

    129. 파블로프 조건반사설 학습의 원리 4가지 (시강계일)

    . 시간의 원리

    . 강도의 원리

    . 계속성의 원리

    . 일관성의 원리

     

    130. 안전난간의 주요구성 요소 4가지

    - 상부난간대, 중간난간대, 발끝막이판, 난간기둥

     

    131. 안전난간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일 때 빈칸을 채우시오.

    [보기]

    상부난간대 :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발끝막이판 : 바닥면 등으로부터 (10cm) 이상

    난간대 :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 파이프

    하중 : (100kg) 이상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

     

    132. 재해예방대책 4원칙을 쓰고 설명하시오. (예손원대)

    . 예방가능의 원칙 : 전채지변을 제외한 모든 재해는 예방이 가능하다

    . 손실우연의 원칙 : 사고의 결과가 생기는 손실은 우연히 발생한다

    . 원인연계의 원칙 : 재해는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이 연계되어 일어난다

    . 대책선정의 원칙 : 재해는 적합한 대책이 선정되어야 한다

     

    133. 지게차 중량 1000kg 지게차 안정성유지를 위한 허용화물중량 kg을 구하시오.[a=1.2m b=1.5m]

    W x 1.2 1000 x 1.5

    W 1250kg

     

    지게차 무게 중심 거리

    화물의 중량 x 앞바퀴에서 화물의 무게중심 지게차 중량 x 앞바퀴에서 지게차 무게중심

     

    134. 안전인증을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할 수 있는 경우 3가지

    .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제조·수입하거나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하는 경우

    .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외국의 안전인증기관에서 인증받은 경우

    . 다른 법령에서 안전성과 관한 검사나 인증을 받은 경우

     

    135. U자형 걸이용 안전대의 구조기준 2가지

    . 지탱벨트, 각링, 신축조절기가 있을 것

    . 신축조절기는 죔줄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것

    . U자걸이 사용상태에서 신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죔줄을 사용할 것

     

    136. 지상높이가 31m 이상 되는 건축물을 건설하는 공사현장에서 건설공사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자 할 때 첨부하여야 하는 작업공종별 유해방지계획의 해당 작업공사의 종류 4가지 (가구 막 해오기)

    . 가설공사

    . 구조물공사

    . 마감공사

    . 해체공사

    . 기계설비공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