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일반전기
전기 기본용어
1-1. 전류(電流) Ampere
전기가 전선 중을 흐를 때 1초 동안에 전선의 어느 한 점을 통과하는 전기의 양 1[A]1 [A]의 전류는 1[Sec] 동안에 1[C]의 전기량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
1-2. 전압(電壓) Voltage
전기를 흐르게 하는 압력, 도체 내 두 점 사이의 전기적인 위치에너지 차(差).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는 볼트(Volt)로 전압계로 측정한다.
1-3. 선간 전압(線間電壓) Line Voltage
다상교류 결선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도선사이의 전압을 말한다.
선간 전압은 상선과 상선 간의 전압을 말하고, 3상회로에서는 선간전압과 상전압이 있으며, Y결선의 경우 선간전압이 상전압의 루트 3배가 되며 선전 류 상전류는 같다. Δ결선의 경우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같으나 선전류는 상전류의 루트 3배가 된다.
1-4. 상전압(相電壓) Phase Voltage
교류 다상식 접속에 있어서 11 상의 전압을 말한다.
1-5. 저항(抵抗) Resistance
저항이란 전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의 두 점 사이의 전위차 V는 전류 I에 비례하며, 그 비례상수를 R이라고 한다면, V = IR로 주어진다.
이 식에서 R이 클수록 같은 전위차에 대한 전류는 작아지므로 R은 전류의 흐르 기 힘든 정도를 표시하는 양으로, 이를 저항이라 한다.
저항의 단위는 1[V]1 [V]의 전위차에 대하여 1[A]1 [A]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저항의 값을 단위로 하여 1[Ω]1 [Ω]이라 한다
1-6. 저항손(抵抗損) Ohmic Loss
저항 중에서 소비되는 전력 손실을 “저항손”이라 한다.
저항을 통하여 전류를 I, 저항값을 R이라 하면 I²RI²R 이 저항손이다.
1-7. 전력(電力) Electric
단위시간 내에 기기나 장치에 소비 또는 발생하는 전기에너지의 양. 즉 1[sec] 동 안에 일을 하게 되는 양으로써,
1[V]로서 1[A]1 [A]가 흐르는 전로의 전력이 1[W]1 [W]이다 다만, 이때의 전기는 직류인 경우 전압 V 전류 I일 때 전력 = VI로 나타낸다. 또 교류인 경우 역률을 cos로 하면 VIcos로 나타내며 단위는 와트[W]이다.[W] 이다.
전류가 저항 중을 통하면 열(熱)이 발생한다. 동력 또는 일을 하는 원동력으로 전 류에 의한 동력을 전력이라고 한다. 1 [Ω]의Ω] 저항을 1[A]1 [A]의 전류가 1초간 통하면 1주울[Joule]1 주울[Joule]의 일을 하는 것이다. 전류 I 가 1초 동안에 하는 일은 t[시간t [시간] = 1초라고 하면, P = I2․R [J]로2․R[J] 1[초]1 [초] 간에 1[J]1 [J]의 일을 할 때의 전력을 1[W]1 [W]라 한다.
1-8. 교류전력(交流電力)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단상전력[W] = 전압×전류×역율
3상전력3상 전력[W] =루트 3 ×전압 ×전류 ×역률×전압×전류×역율
피상전력[VA] = 전압×전류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실효 치를 곱한 것으로서, 유효전력과 구분된다. 직류와 역률1(100%)의 경우는 피상전력 = 유효전력이 된다.
직류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되지만 교류전력은 전압 ×전류 ×역률로×전류× 된다.
순시전력:교류전압과 전류의 순시값을 곱한 것을 순시전력이라고 한다.
평균전력:순시전력은 때때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1주기에 대한 순시전력의 평균을 취하여 교류의 전력으로 삼는다.
교류전력(P) = 순시전력의 평균값
순시전력의 평균값을 구하면,
P = EI cosθ의 1[Hz]1 [Hz]의 평균 - EI cos(2ωt-θ)의 1[Hz]1 [Hz]의 평균
여기서 제2항은 0이 되므로 평균전력(P) = EIcosθ[W]이 된다.
즉, 교류전력 P는 전압의 실효값 E[V]E [V]와 전류의 실효값 I[A]I [A]의 곱에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θ의 cos을 곱한 것과 같다.
유효전력:P = EI cosθ[W]
무효전력:Pr = EI sinθ[Var]
피상전력:Pa = EI [VA]
일반적으로 교류전력이라 함은 유효전력을 말한다.
1-9. 전력량(電力量) Electric Energy
어떤 일정한 전력이 어느 시간 일하는 데 사용한 전기량. 즉, 전기가 하는 일의 양으로 전력 ×시간이다.×시간이다 전력1[W]가 1시간 동안 일한 전기량은 1[Wh]1 [Wh]가 된다. 단위는 [J], [Wh], [KWh]로 표시한다.
전력량 = 전력×시간 = 전압×전류×시간이다.
W =P×t = E×I×t = I2․Rt [J]2․Rt[J]
1-10. 리액턴스 (Reactance)
직류에서는 주파수가 0이므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은 저항뿐이나 교류회로에서는 자체 인덕턴스 L 및 정전용량 C에 의한 리액턴스가 추가된다. 이 중 L에 의한 리액턴스를 유도성 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 C에 의한 것을 용량성 리액턴스(capacitive reactance)라 한다.
가. 유도성 리액턴스(inductive reactance)
L [H]의f [Hz]의 교류회로에 사용할 때의 리액턴스 XL = 2πfL [Ω]로πfL[Ω] 표시되며 유도성 리액턴스는 f에 비례한다.
나. 용량성 리액턴스(capacitive reactance)
C [F]의Xc =
[Ω]로 표시되므로 용량성 리액턴스는 f에 반비례한다.
다. 동기 리액턴스(synchronous reactance)
동기기의 리액턴스는 주로 유도성 리액턴스로 만일 회전자가 전기자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기자력의 최대치와 일치된 위치에서 이와 동일한 속도(동기속도)로 회전할 경우에는 기본파 자속의 최대치가 회전자와 전기자 사이를 쇄교(鎖交)하게 되므로 회전자의 다른 위치에서 보다도 전기자의 리액턴스가 커지게 되는데 이를 동기 리액턴스라고 한다.
교류회로의 33 정수는 용량 리액턴스, 유도 리액턴스, 임피던스로서 3자는 동시에 존재하며, 인덕턴스나 리액턴스만의 회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류회로에서 자기 인덕턴스는 유도 리액턴스와 용량 리액턴스(축전지)로 일종의 저항과 같은 것으로 보고, 단위는 [Ω]으로 표시한다.
1-11. 인덕턴스(inductance)
인덕턴스란 전자유도에 의한 전압이 유도된 세기를 말한다.
1초간에 1[A]1 [A]의 전류가 흐를 때 1[V]1 [V]의 전압이 유도되면 그 회로의 임피던스는 1[H:Henry]이다.
'뇌모저모 > 전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발전 설비 점검시 유의 사항 (1) | 2023.01.13 |
---|---|
전기용어 : 서지, 뇌서지, 개폐서지, 서지대책방안, SPD(SURGE PROTECTIVE DEVICE, SURGE BOX) (0) | 2023.01.04 |
클램프식 접지저항계 원리 (0) | 2022.12.22 |
전기 케이블(전선) 선심 색상 (내선규정,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S, 기술기준) (1) | 2022.12.22 |
누전 경보기(Earth Leakage Detector)와 누전 계전기 GFR(Ground Fault Relay)의 차이점 및 특징 (0) | 2022.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