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순서
인체 감전이나 누전으로 인한 전기화재 등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전기기기나 전기배선의 절연상태를 알기 위한 절연저항 측정방법(절연저항계 사용방법)을 알아봅시다.
절연저항 측정방법(절연저항계 사용방법)
절연(Insulation) 및 절연파괴란?
전기를 통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전기에너지가 도체에서 새어 나와 노출된다면 인체 감전이나 전기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가 노출되는 현상을 절연파괴라고 합니다. 조금 어려운 말로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질의 전기저항이 감소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절연의 상태를 알아보는 방법이 절연저항 측정인데요, 감전이나 전기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점검 방법입니다. 그래서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부분입니다.
1000V를 초과하는 고압 전기설비는 절연내력 시험(내전압시험)으로 절연성능을 점검하지만 저압(1000V 이하)은 절연저항측정으로 절연성능을 검증합니다.
절연저항 측정방법
1. 측정설비의 전원을 차단합니다. (차단기 OFF)
2. 왼쪽 아래의 로타리스위치로 알맞은 DC 시험 전압으로 전환합니다.
3. 검정색 리드선은 접지에 연결합니다. 빨간색 리드선은 측정하고픈 단자에 연결합니다. (검은색은 접지에 고정, 빨간색 리드선으로 각 상의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4. 왼쪽위에 MEASURE키를 위로 올려줍니다. (위로 여는 방식)
5. 절연저항 값을 확인합니다.
절연저항 측정 시 알맞은 인가전압 및 기준값
참고
ELV(extra low voltage) : 특별 저압,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저압, 2차 측 전압이 AC 50V, DC 120V 이하인 것
SELV(Safety-extra low voltage) : 비접지 회로방식의 특별 저압,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PELV(Protected-extra low voltage) : 접지회로방식의 특별 저압,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FELV(Fuctional-extra low voltage) : 단권변압기 등등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회로
보통 220V, 380V회로에는 3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준 1MΩ 이상이면 양호하다고 보는 것 입니다.
주의사항
절연저항 측정 시에 500V, 1000V이상의 고압을 인가하므로 전기설비에 무리를 줄 수 있어요. 그래서 설비에 전자부품이 연결되어 있다면 전자제품에게 무리를 주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니 꼭 분리 후 측정하세요.
안전한 전기설비 사용을 위하여 절연상태 점검을 필수로 합시다. 안전!
'뇌모저모 > 전기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용어 : 서지, 뇌서지, 개폐서지, 서지대책방안, SPD(SURGE PROTECTIVE DEVICE, SURGE BOX) (0) | 2023.01.04 |
---|---|
전기 기본 용어 설명 (0) | 2022.12.22 |
클램프식 접지저항계 원리 (0) | 2022.12.22 |
전기 케이블(전선) 선심 색상 (내선규정,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S, 기술기준) (1) | 2022.12.22 |
누전 경보기(Earth Leakage Detector)와 누전 계전기 GFR(Ground Fault Relay)의 차이점 및 특징 (0) | 2022.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