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모저모/자격증

철도장비 자격시험 구술문제 1

by 오궁2 2024. 3. 2.

글의 순서

    728x90
    반응형

    철도장비 자격시험 구술문제 1

    1. 구원열차 운전원 요령

    1. 운전명령서 고지서 수령 

    2. 구원을 요청한 운전원과 운행조건 협의

    3. 열차의 정차지점을 전방 1km까지 45km/h이하(기타 구간에서는 25km/h이하)로 운전

    4. 도착지점 50m 전방에 일단 정차

    5. 전령자 입환전호에 의하여 연결입환 시행

    6. 제동기능 상태 점검

    7. 출발한 정거장 또는 인점역에 열차도착 및 출발예정시작 통보

     

    2. 아웃트리거

    - 용도 : 크레인 중량물 작업 시 모터카의 균형을 유지하고 움직이거나 전도 예방

    - 장착상태 점검 : 앞에 있는 고정핀이 정위치에 있는가를 확인

     

    3. 기어박스

    - 용도 : 유니버셜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차축에 전달

    - 동력장치 전달순서 : 엔진 - 토크컨버터(동력전달) - 트랜스미션(속도조절) - 유니버셜샤프트 - 기어박스 - 차륜구동

     

    4. 유압작동유

     - 규격 : 용량 : 180L, 정격유량 : 40L/min, 정격압력 : 255bar

     

    5. 살사장치 

     - 용도 : 상구배 운전 시 슬립(공전) 현상 방지를 위하여 살포

     - 사용재료 : 구운(건조된 ) 고운 모래 사용, 압축공기 이용하여 살사

     

    6. 차륜

     - 규격 : 직경 : 860mm, 폭 : 140mm, 두께 : 65mm

     - 후렌지 높이 : 표준 : 25mm (마모 3 한도 : 35mm 이하)

     - 후렌지 두께 : 표준 : 34mm (마모 3 한도 : 23mm 이하)

     

    7. 축상 스프링

     - 용도 : 차체 상하 및 좌우 진동 및 충격을 방지하고 승차감 향상

     

    8. 오일댐퍼 

     - 용도 : 좌우의 차체의 진동을 줄이고 곡선부 통과 시 순간적인 기울어짐 잡아주고 승차감 향상

     - 적당한 간격 : 조절 시 압축진동의 완충이 가능한 50mm 정도 이내

     

    9. 제륜자

     -  교환방법 : 보조공기통으로 가는 캇트코크 캇트하고 보조공기통 공기를 빼고서 교환 브레이크 슈의 키링 및 키를 뽑고 조정판 더블너트 풀고 교환

     - 마모한도 및 답면간격 : 마모한도 : 15mm, 답면간격 : 2~3mm

     

    10. 주공기통

     - 응결수 배수 시기 : 운행 전 또는 후 시행

     - 응결수 배수 목적 : 동절기 배수코크 동파 예정 / 공기 배관의 부식 예방 / 각 공기밸브의 작동 고장 예방

     - 소리 안 나는 이유 : 겨울철 날씨 관계로 동결 및 주공기통 캇트코크 차단

     

    11. 복선기 

     - 사용방법 : 선로의 내외방 200mm 이내 차륜 탈선 시 취부볼트 풀고 복선기를 차륜에 밀착시키고 스파이크 고정 타차량으로 견인

     

    12. ATS

     - 차상장치 역할 : 열차가 제한속도를 초과 운전할 경우 차상자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으로 열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 장치 : 2개 (상행, 하행), 좌측(전진), 우측(후진)

     - 운행 중 경보벨 작동 시 : 제한속도 이하로 운전하면서 3초 이내 확인 버튼

     - 주의, 경계구간에서 제한속도 초과 시 : 제한속도 초과로 경보벨 작동 시 제동변을 취급하여 제한속도 이하 감속 운전하며 즉시 3초 이내 확인 버튼

     - 주의, 경계구간에서 제한속도 지상제동 시 : 기관속도제어스위치 유전, 전후진제어 스위치 중립 / 제동변을 비상위치 / ATS 복귀스위치를 조작하여 비상제동 체결 완해 / 재출발하여 제한속도 이하로 운전

      - ATS 고장 시 : ATS 전원 차단 3초 후 재투입 / 복귀불능 시 관제실 통보 후 전원스위치 차단 / ATS 차단밸브 차단, 구간 허용속도로 운행

     - ATS 복귀 불능 시 조치 : ATS 전원 차단 후 재투입 > 복귀불능 시 / 관제실 통보 후 전원스위치 차단 구간허용속도 운행 / ATS차단밸브 차단 후 운행

     - 현시 별 속도 : 3 현시 : R(0), Y(45), G(free) / 4 현시(지상) : R(0), Y(45), YG(65), G(free) / 4 현시(지하) : R(0), YY(25), Y(45), G(free) / 5 현시 : R(0), YY(25), Y(65), YG(105), G(free)

     

    13. 유니버셜 샤프트 

     - 기능 : 트랜스미션에서 받은 동력을 기어박스에 전달

     - 탈락 및 절손 시 : 기관정지 후 구름방지 및 열차방호 조치 / 탈락된 유니버셜샤프트 양쪽 취부볼트 8개 분리 / 유니버셜샤프트 차량에 싣고 결박 조치 / 탈락되지 않은 쪽을 이용하여 저속으로 운행

     

    14. 토크컨버터 

     - 역할 : 동력을 전환하는 장치(기계적 에너지를 유체에너지로 받아서 다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 압력 : 2.5 ~ 5.0km/cm^2

     

    15. 트랜스미션

     - 정상온도 : 80 ~ 85도씨

     - 과열원인 : 트랜스미션 누수 및 부족 / 연속 과부하 운전 / 오일쿨러 장치 불량 / 오일쿨러 코어 막힘 / 과열표시등 점등, 경보부저 작동온도 120도씨

     - 압력 : 21 ~ 25kg/cm^2

     

    16. 보조공기통

     - 삼동변 작동원리 설명 : 제동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압력공기를 공기통 저장 / 제동관 압력변화 발생하면 공기통에 저장된 압력공기를 제동통에 넣어 제동작용 / 제동통안의 압력공기를 대기로 배출시켜 제동을 완해

     

    17. 배터리

     - 용량 : 전압 : DC12V 200Ah 4개 직병렬 연결 DC24V, 용량 : 400Ah

     - 교환방법 : 흑색단자(-)를 먼저 해체 후 적색단자(+) 해체. 조립은 역순

     - 충전전압 : 26~28V

     - 충전발전기 : DC28V / 65Ah / 80A

     - 충전불능 시(전류계 +60, -60) : 배터리 단자 연결 상태 확인 / 충전발전기 벨트탈락 및 장력상태 확인 / 충전발전기 교체 요구

     

    18. 기관

     - 터보차져 용도 : 기관 배기가스로 터빈을 돌려(120,000 RPM)의 힘으로 대기 중 공기를 강제로 흡입시켜 기관 출력을 증가

     

    19. 벨트 

     - 벨트 연결과정 : 크랭크샤프트 풀리 -> 공기압축기 풀리 / 크랭크샤프트 풀리 -> 충전발전기 풀리 -> 냉각팬 풀리  / 냉각팬 풀리 -> 에어컨콤프레셔 풀리

     - 벨트 장력상태 : 엄지 손가락 10 kgf/cm^2의 압력으로 눌러 10~15mm 이내로 눌리면 정상

     

    20. 오일

     - 점도 : 끈적끈적한 상태

     - 상태 : 황갈색(정상), 유백색(냉각수 혼입), 검은색(장기간 사용)

     

    21. 공기압축기

     - 에어브리더 용도 : 공기 빼기 장치, 기관 내 공기압과 대기 공기압을 같게 조절 (기관 내 발생하는 가스를 대기로 방출)

     

    22. 제동  

     - 상용제동 : 제동변 취급으로 제동관의 압력변화에 따른 일반적 제동

     - 기상제동 : 비상발생 시 제동변 비상제동위치 취급으로 삼동변에서 대기로 압력공기를 급속히 방출시켜 빠른 제동을 일으킴

     - 사용제동 취급 시 비상제동 : 제동관이 파열된 경우 / 삼동변의 기능불량

     - 위의 사항 조치요령 : 삼동변 컷아웃 코크 차단 후 운전실 3방향 밸브 직통제동으로 전환하여 운전

     

    23. 소화기 

     - 화재발생 시(모터카) : 소화기 안전핀 뽑고 / 불난 곳을 향하여 호스를 빼고 손잡이를 힘껏 움켜쥔다. / 불길 위주부터 빗자루를 쓸듯이 골고루 방사 화재진압

     - 운전실 내 화재(건널목 작업 중) : 건널목을 피해 가까운 장소에 즉시정차 / 열차방호 및 구름방지 조치 / 기관을 정지하고 주전원 스위치 차단 / 관제실에 현재상황 급보

     - 기관실 내 화재(구내진입 중 분기부) : 인접선에 지장을 주지 않는 가까운 장소에 즉시 정차 / 열차방호 및 구름방지 조치 / 기관을 정지하고 주전원 스위치 차단 / 관제실에 현재상황 급보

     - 기관실 내 화재(역 통과 중) : 인접선 안전(승객, 시설물) 유의하여 가까운 장소 정차 / 열차방호 및 구름방지 조치 / 기관을 정지하고 주전원 스위치 차단 / 관제실에 현재상황 급보

     - 기관실 내 화재(터널구배 중간 운행 중, 터널구간 운행 중) : 배연이 용이한 가까운 장소에 즉시 정차 / 열차방호 및 구름방지 조치 / 기관을 정지하고 주전원 스위치 차단 / 관제실에 현재상황 급보

     - 화재발생으로 자력운전 불가능 경우 : 철도관제에 구원열차 요청 / 장비운전원 차량 50m 전방에서 정지수신호로 방호조치 / (연결기 연결 확인 후) 제동변 랩위치 / 제동관 호스를 연결하고 앵글코크 개방 / 운전원 삼방향 밸브 관통제동 위치전환, 차단벽 개방 / 열차방호장치 해제 / 구원기에서 제동시험 시 피견인장비 제동 작동상태 확인

     

     24. 수동운전 

     - 가속요령 : 운전속도 30km/h 도달 시, 기관속도제어스위치 유전위치 / 속도제어 스위치 고속 전환 / 기관속도제어스위치 조작하여 서서히 가속 

     

    25. 기관기동

     - 기동요령 : 크랭킹 시간은 10초 이내, 기동 안 되면 3분 경과 후 재시도

     

    26. 경보장치 

      - 변속기 가열작동온도 : (트랜스미션) 120도씨 이상시

      - 기관 과열 시 원인(운전 중 기관과열 표시등점등 및 경보부저 작동) : 기관 냉각수 누수 및 부족 / 연속 과부하 운전 / 냉각팬 벨트 이완 및 절손 /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 과열표시등 점등, 경보부저 작동온도 96도씨

      - 연속과부하 운전으로 기관가열 : 선로사정상 기관을 냉각시킬 허용시간 없을 시 비상운전 스위치를 조작하여 인근 역까지 저속으로 이동 후 조치 

     - 기관저유압시 조치요령 : 기관정지 / 오일점검 후 부족 시 보충, 재가동 운전 / 기관점검 후 누유 시 정비토록 조치

     

    728x90
    반응형

    댓글